본문으로 바로가기

주식투자를 할 때 그 기업이 안정적인 경영을 하고 있는지, 안정성이 높은 기업이라고 할 수 있는지를 아는 것은 필수입니다.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여러 수치를 비교해 봐야하는데 BPS도 이 중 하나입니다. BPS는 Book-value Per Share 의 약자로 '주당순자산가치'로 불립니다. 기업의 안정성을 측정하는 지표 중 하나인 'BPS'란 무엇인지, 어떻게 계산할 것인지, 주식매입에 BPS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겠습니다. 

BPS

순자산이란 대차대조표에서 자산에서 부채를 뺀 것으로 회사의 순수한 자산을 의미합니다. 이 순수한 자산은 어떠한 사정으로 회사가 파산 등으로 해산하게 되었을 경우에 보유하는 주식수에 따라 주주에게 환원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BPS는 회사의 안정성을 판단할 때 이용됩니다. BPS 수치가 높을수록 안정성이 높은 기업이라고 평가할 수 있으며, 반대로 BPS 수치가 낮을수록 안정성이 떨어지는 기업이라고 볼 수도 있습니다.

 

BPS는 주가의 저렴도를 평가하는 PBR(Price Book-value Ratio, 주가순자산비율)을 계산할 때도 이용됩니다. PBR는 주당순자산에 대해 몇 배까지의 주가로 거래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PBR가 크면 클수록 비싼 주식이라고 판단할 수 있고, 반대로 PBR가 작으면 작을수록 저렴한 주식이라고 볼 수 있지만(통상은 1을 기준으로서 PBR가 1보다 크면 비싸고 1보다 작으면 저렴하다고 판단합) 기업의 업종이나 사업 규모, 발행 주식수, 실질 채무초과등의 다양한 요소에 의해서 변동하기 때문에 PBR의 수치만을 보고는 정확하게 판단은 할 수 없습니다.

BPS 계산법

BPS = 순자산÷발행주식수

      =(자산총액-부채총액)÷발행주식수

 

A회사가 있는데 자산총액이 100억원인데 부채가 80억원이고, 발행주식이 200만주라면 BPS는 100원입니다. 만약 이 시점에서 이 회사가 도산 등을 이유로 청산된다면 주주는 주당 100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1만주를 갖고 있는 주주이면 100만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PBR 계산법

PBR = 주가÷1주당 순자산 

 

A회사의 주가가 현재 200원이라면 PBR은 200/100 으로 2가 됩니다. PBR은 현재주가를 BPS로 나눈 값이라고 보면 됩니다. 1만주를 가지고 있는 주주가 시장에서 주식 전량을 매각하면 200만원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주식청산을 해서 손에 쥐는 돈보다 그 전에 주식을 팔아 받는 돈이 더 큰 셈입니다. 즉, 다른 요소를 고려하지 않고 결론을 낸다면 이 주식은 비싼 주식이라고 판단할 수 있는 것입니다.

BPS가 증가(감소)하는 경우는?

자사주매입, 주식병합에 의한 발행주식수의 감소

자사주 매입이나 주식병합에 의해서 발행주식수가 감소하면 BPS는 커지고, 반대로 주식분할이나 전환사채의 발행, 신규 상장, 스톡옵션의 지급등에서 발행주식수가 증가하면 BPS는 작아집니다.

순자산의 증가

사업을 시작하기 위해서, 혹은 사업 확대나 설비 충실을 위해서 빌린 자금을 변제했을 경우는 부채액이 감소하게 되므로 순자산이 증가합니다. 순자산이 증가하면 BPS도 증가하고, 기업의 안정성도 높다고 판단할 수 있게 됩니다.

 

또한 부채총액에는 변화가 없어도 이익증가로 자산이 증가하면 순자산 자체도 증가합니다. 부채감소와 마찬가지로 순자산이 증가하면 BPS가 증가하여 기업의 안정성이 높다고 평가받게 됩니다.

 

주식 매매 시 BPS 활용 방법

투자가치가 있는 기업인지 아닌지를 판단

BPS의 수치로부터 기업이 1주에 대해서 어느 정도의 자산을 보유하고 있는지, 다시말해 1주를 어느 정도의 자금력이나 기술력 등으로 지지하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BPS가 크다는 것은 고액의 자금을 지탱하고 있습니다고 바꿔 말할 수 있으므로 어느 정도 안심하고 투자할 수 있습니다고 볼 수 있을 것입니다.

 

반대로 BPS의 수치가 충분히 크다고는 말할 수 없는 경우 1주를 지지하는 힘이 부족하다고 파악할 수 있습니다. 주목할 만한 신기술을 보유하고 있거나 사업을 전개하는 업종이 성장기에 있거나 하지 않는 긍정적인 요소가 없다면 투자에 위험도가 크다고 예상해 볼 수 있습니다.

안정성이 높은 기업인지 아닌지를 판단

BPS의 수치로부터 기업으로서 어느 정도 안정되어 있는지를 측정할 수도 있습니다. BPS가 크다는 것은 1주를 큰 자본으로 떠받치고 있습니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급격한 환율 변동이나 원가 상승, 신흥기업 대두로 인한 실적의 일시적 부진 등 예기치 못한 사태가 벌어지더라도 주가가 급격히 하락하는 등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볼 수 있는 것입니다.

 

반대로 BPS가 충분히 크다고는 할 수 없을 때는 그 밖에도 고려해야 할 요소가 있기는 하지만 기업의 안정성을 의심해 볼 수도 있을 것입니다. BPS가 작다는 것은 1주를 지탱하는 자본력이나 기술력이 적거나, 투자가로부터의 평가가 낮다고 상객해 볼 도 있습니다. 대규모 천재지변이나 경기 하락, 환율 변동에 따른 비용 증대 등 예측할 수 없는 흐름에 직면할 경우 기업의 근간이 크게 흔들릴 가능성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BPS를 볼 때 주의점

공시 예정인 손익에 주의

BPS는 최근 분기의 순자산으로부터 구하는 것이 아니라 어디까지나 과거 결산에서 구하는 수치입니다. 따라서 이번 분기에 대규모 적자가 계상된다면 BPS가 높아도 실제 자본력은 적은 현상이 발생합니다. BPS 단체가 아닌 BPS의 추이나 순자산의 추이도 맞추어 보도록 유의해야 합니다.

부동산이나 기계 등의 평가액에 주의

BPS에 사용되는 순자산은 어디까지나 장부상의 가격입니다. 보유한 부동산이나 기계 등이 정확한 시가로 평가되지 않기 때문에 실제 자산가치가 장부가격보다 높을 수도 있고, 반대로 장부상의 가격보다 실제 자산가치가 낮을 수도 있는 것입니다. 이러한 숫자에 현혹되지 않기 위해서도, BPS의 추이뿐 아니라 보유하는 자산의 종류나 평가액에도 주의할 필요가 있을 것입니다.

투자 판단에 큰 의미를 갖는 기업의 안정성

BPS를 통해 측정할 수 있는 기업의 안정성은 투자 판단에 필수적인 요소 중 하나입니다. BPS를 요구할 뿐만 아니라, 동기업의 BPS 추이, 순자산의 변화나 자산 평가의 기준이 되고 있는 것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타이밍에 투자할 수 있도록 유의해야 합니다.

반응형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매수청구권 이란?  (0) 2020.08.25
볼린저밴드란?  (0) 2020.08.23
아마존 주가 분석  (0) 2020.08.09
한미약품 주가 분석  (0) 2020.08.06
EDF모형이란?  (0) 2020.08.02